본문 바로가기

Life in Brisbane

호주에서 천재지변에 의한 위급/비상 상황 시 알아두어야 할 사항

728x90
반응형

50년 만에 브리즈번에 찾아온 싸이클론. 
나는 브리즈번에 온지 2년밖에 안되었는데, 이런 상황을 맞이하다니. 
너무한거 아니냐고!! 라고 한탄만 하기에는 상황이 너무 위급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만약 한국에서 천재지변이 발생했다면, 자국이기때문에 언어적인 면에서도 생활측면에서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을 것 같다. 하지만 외국에서 천재지변이 발생하면 어떻게 대응을 하고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할지, 그야말로 나는 패닉상태였다.
이번에 찾아와준 Alfred 로 인해 앞으로 이런 국가비상상황발생시 어떻게 대처를 하고 있어야 할지 검색에 검색을 통한 대처방안을 정리해두려고 한다.


호주 천재지변 및 위급상황 대처방안

사전 준비

  1. 비상 연락처 숙지: 000(응급상황), 131 444(비응급 경찰), 132 500(SES - 폭풍/홍수 지원)
  2. 비상 키트 준비: 최소 3일분의 물과 식량, 구급약품, 배터리식 라디오, 손전등, 여분 배터리
  3. 가족 비상계획 수립: 집합 장소, 통신두절시 연락방법, 대피경로 사전 논의
  4. 비상앱 설치: Emergency+, Fires Near Me, BOM Weather 등

유형별 대처방법
 

산불 발생 시

  1. 조기 대피: 대피 명령이 내려지면 즉시 대피, 늦은 대피는 위험함
  2. 대피소 확인: 지역 비상 앱이나 라디오를 통해 대피소 위치 확인
  3. 복장: 긴 소매와 바지, 튼튼한 신발 착용으로 화상 위험 감소
  4. Stay or Go 판단: 상황이 미비할 경우 머물지 떠날지 결정, 불확실하면 조기 대피

홍수 발생 시

  1. 고지대 이동: 신속히 높은 지역으로 대피
  2. 물에 들어가지 않기: 흐르는 물은 15cm만 되어도 사람을 쓰러뜨릴 수 있음
  3. 차량 이동 자제: 홍수물에서 운전하지 말 것, 30cm 깊이에서도 차량 유실 가능
  4. 전기 안전: 침수된 곳에서 전기 설비 접촉 금지

사이클론/폭풍 발생 시

  1. 실내 대피: 창문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한 공간(욕실, 복도)에 대피
  2. 유리창 보호: 폭풍 전 창문에 테이프 부착 또는 합판으로 보호
  3. 낙하물 제거: 야외 가구, 쓰레기통 등 날아갈 수 있는 물건 실내 보관
  4. 전원 차단: 전기, 가스, 수도 주 공급원 차단 준비

지진 발생 시

  1. Drop, Cover, Hold On: 엎드리고, 테이블 아래로 피하고, 단단히 잡기
  2. 실외 시: 건물, 전선, 나무에서 멀리 이동
  3. 차량 내: 차를 세우고 안에 머물기, 다리나 육교 밑은 피할 것
  4. 쓰나미 경계: 해안가 지진 후 높은 지대로 신속히 이동

재난 후 조치

  1. 안전 확인: 본인과 주변인의 부상 확인 및 응급처치
  2. 당국 지시 따르기: 라디오나 비상앱을 통해 공식 지시사항 확인
  3. 인프라 점검: 가스 누출, 전기 손상 등 확인, 의심스러우면 전문가 호출
  4. 정서적 지원: 심리적 충격 관리, 필요시 Beyond Blue(1300 22 4636) 등 지원 서비스 이용

비상사태는 준비와 침착함이 가장 중요합니다.
 

★호주에서 천재지변이나 위급상황 시 유용한 애플리케이션 ★

  1. Emergency+: 호주 정부에서 제공하는 공식 비상 앱으로, 사용자의 GPS 위치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000(긴급전화), 131 444(경찰), 132 500(SES 홍수 및 폭풍 지원) 등 비상 서비스에 빠르게 연결해줌.
  2. Fires Near Me: 산불 정보 및 경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특히 뉴사우스웨일즈 지역에서 많이 사용됨. 빅토리아 주의 'VicEmergency', 퀸즐랜드의 'QLD Fire and Emergency Services
  3. BOM Weather: 호주 기상청(Bureau of Meteorology)에서 제공하는 공식 날씨 앱. 기상 경보와 실시간 레이더 영상을 제공.
  4. Red Cross First Aid: 응급처치 정보와 지침을 제공하는 앱.
  5. What3words: 정확한 위치를 세 단어로 표현하여 구조팀에게 정확한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앱.
  6. 지역별 비상 앱: 각 주와 테리토리별로 제공하는 비상 앱이 있으니, 거주 지역에 맞는 앱을 설치하는 것이 좋음. (내가 거주하는 퀸즐랜드의 경우 GPS 위치기반으로 비상상황을 바로 콜해주는 SES 어플을 다운받았다. )
  7. Digital licence : 비상상황에서 나의 신원조회를 바로 할수있는 어플. 여권이나 신분증을 미리 챙기지 않았다면 전자신분증을 미리 등록해서 가지고 보관할수 있는 앱.

비상상황에서는 배터리 소모를 고려하여 필수 앱만 사용하고, 가능하면 긴급 상황 전에 미리 다운로드해 두는 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